클린코드 - 12.창발성

2022-02-27

창발성

  • 창발적 설계로 깔끔한 코드를 구현하자
    • 모든 테스트를 실행한다.
    • 중복을 없앤다.
    • 프로그래머 의도를 표현한다.
    •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인다.
  • 단순한 설계 규칙 1: 모든 테스트를 실행하라
    • 설계는 의도한 대로 돌아가는 시스템을 내놓아야 한다.
    • 테스트를 철저히 거쳐 모든 테스트 케이스를 항상 통과하는 시스템은 ‘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’이다.
    • 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려고 애쓰면 설계 품질이 더불어 높아진다.
    • 테스트 케이스가 많을수록 개발자는 테스트가 쉽게 코드를 작성한다.
    • 철저한 테스트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면 더 나은 설계가 얻어진다.
    • 결합도가 높으면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기 어렵다.
    •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면 설계 품질이 높아진다.
  • 단순한 설계 규칙 2~4: 리팩터링
    • 테스트 케이스를 모두 작성했다면 코드와 클래스를 정리해도 괜찮다. 구체적으로는 코드를 점진적으로 리팩터링 해나간다.
    • 코드를 정리하면서 시스템이 깨질까 걱정할 필요가 없다. 테스트 케이스가 있으니까!
    • 리팩터링 단계에서는 소프트웨어 설계 품질을 높이는 기법이라면 무엇이든 적용해도 괜찮다.
    • 응집도를 높이고, 결합도를 낮추고, 관심사를 분리하고, 시스템 관심사를 모듈로 나누고, 함수와 클래스 크기를 줄이고, 더 나은 이름을 선택하는 등 다양한 기법을 동원한다.
    • 또한 이 단계는 중복을 제거하고, 프로그래머 의도를 표현하고,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이는 단계이기도 하다.
  • 중복을 없애라
    • 중복은 추가 작업, 추가 위험, 불필요한 복잡도를 뜻한다.
    • 깔끔한 시스템을 만들려면 단 몇 줄이라도 중복을 제거하겠다는 의지가 필요하다.
    • 소규모 재사용은 시스템 복잡도를 극적으로 줄여준다. 소규모 재사용을 제대로 익혀야 대규모 재사용이 가능하다.
  • 표현하라
    •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비용 중 대다수는 장기적인 유지보수에 들어간다.
    • 코드는 개발자의 의도를 분명히 표현해야 한다. 개발자가 코드를 명백하게 짤수록 다른 사람이 그 코드를 이해하기 쉬워진다. 그래야 결함이 줄어들고 유지 보수 비용이 적게 든다.
    • 좋은 이름을 선택한다.
    • 함수와 클래스 크기를 가능한 줄인다.
    • 표준 명칭을 사용한다.
    • 단위 테스트 케이스를 꼼꼼히 작성한다. 테스트 케이스는 소위 ‘예제로 보여주는 문서’다.
    • 표현력을 높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노력이다. 나중에 읽을 사람을 고려해 조금이라도 읽기 쉽게 만들자.
  • 클래스와 메서드 수를 최소로 줄여라
    • 함수와 클래스 크기를 작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시스템 크기도 작게 유지할 수 있다.

결론

단순한 설계 규칙을 따른다면 오랜 경험 후에야 익힐 우수한 기법과 원칙을 단번에 활용할 수 있다.